2024 메이커스메타 (1주차)

2024 메이커스메타 (1주차)
Photo by Jack Young / Unsplash

모두 환영합니다. 2024년 메이커스메타 프로그램 1주차에는 메타버스를 돌아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메타버스의 8가지 원칙에 대해서 같이 살펴볼께요.

Building the Metaverse
2021년도에 타 플랫폼에 기고했던 내용입니다. 지금 다시 살펴봐도 메타버스에서 아래의 8가지 원칙 적용은 꼭 필요한 요소인 것 같네요. 실패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8가지 요소 중 어떤 점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는지 분석해보면 그 원인을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대를 지나면서 사람들은 비대면에 익숙해졌다. 업무와 교육 등 다양한 사회활동이 인터넷과

코로나 팬더믹 기간을 지나면서 광풍처럼 느껴졌던 메타버스에 대한 키워드를 요즘은 거의 볼 수 없습니다. 과연 메타버스는 어디로 사라져버린 걸까요?

메타버스 시장의 한계와 공급자 중심 구조
최근 메타버스 관련 종목들과 시장의 관심을 보여주는 검색량, 투자 지표들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타버스를 차기 성장동력으로 삼던 글로벌 빅테크를 비롯한 국내외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인한 관련 부서 축소와 구조조정 등 메타버스 시장의 성장성에 대한 회의론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Web3 프로게이머 : 네이버 블로그 이러한 시장 관심 하락의 주요
메타버스의 부진과 철수: 주요 기업들의 실패 사례
1. 두나무, 메타버스 ‘세컨블록’ 서비스 종료 *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메타버스 서비스 ‘세컨블록‘을 내달 종료합니다. * 코로나19 종식 이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며 두나무 역시 철수 결정을 내렸습니다. 2. 빗썸과 코빗도 메타버스 사업 포기 * 빗썸은 메타버스 ‘네모월드‘를, 코빗은 ‘코빗타운’을 각각 종료했습니다. * 두나무의 철수로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메타버스에서 모두 철수한
메타버스의 새로운 방향: 산업용 B2B 시장으로 전환
1. B2C 메타버스 퇴조, 산업용 B2B 성장 * 코로나19 시기 성장한 B2C 메타버스가 이용자 감소로 인해 서비스 중단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반면, 산업용 메타버스는 2030년까지 14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B2B 시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주요 기업들의 메타버스 서비스 종료 * KT, LG유플러스, 컴투스 등 주요 IT기업들이 메타버스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종료할 예정입니다. * 디지털

힘든 상황 가운데에서 메타버스를 3D 웹빌더플랫폼으로 재정의해서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사업을 하고 있는 올림플래닛(엘리펙스)이 있습니다.

올림플래닛 엘리펙스(ELYPECS)
올림플래닛의 엘리펙스(ELYPECS)는 혁신적인 메타버스 웹 3D 빌더 플랫폼으로,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통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앱이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IT세상을 바꾸는 힘 지디넷코리아)

그리고 롯데정보통신의 칼리버스는 엄청난 고품질의 메타버스를 CES 2023~24에서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NFT, Web3를 반영하는 전통적인 서비스 로드맵을 그리고 있습니다.

칼리버스
칼리버스는 롯데정보통신이 제공하는 초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CES 2024에서 그 기능이 대중에게 선보여졌습니다. 이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콘텐츠를 쉽게 생성하고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기술을 핵심 요소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헬로티 –매일 만나는 첨단 산업, 경제, IT 소식) . 칼리버스는 언리얼 엔진 5를 사용하여 높은 수준의 그래픽과 사실감을 구현하며,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글로벌하게 많은 유저가 상호교류하는 플랫폼인 인게이지가 있습니다. (2024 메이커스메타에서는 인게이지로 실습을 진행합니다. 데스크탑&메타퀘스트2)

인게이지(Engage)
인게이지XR(Engage XR)은 혁신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산업 및 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플랫폼입니다. 교육,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가상 오피스, 공연 등을 위한 맞춤형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합니다. 서울대학교와 같은 주요 교육 기관에서는 강의 및 세미나를 실시간으로 개최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넷) . 주요 공식 홈페이지 및 사용

메타도 메타버스 사업부를 많이 축소하긴 했지만, 다른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고 있습니다.

메타, VR헤드셋 ‘퀘스트’ OS 개방
* 메타(구 페이스북)가 자사 VR 헤드셋인 ‘퀘스트’를 위한 새로운 운영체제(OS)를 공개했다. 이는 퀘스트를 개방형 플랫폼으로 전환하려는 메타의 전략으로 보인다. * 이처럼 메타는 VR 헤드셋에서 독자적인 OS로 전환을 모색하며 개방형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메타버스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메타는 아직 메타버스를 접지 않았다?
최근 몇 년 동안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해왔습니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여러 기업들이 이 분야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메타(Meta)의 투자와 연구는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메타는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대중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그 중심에는 ‘프로젝트 나자레’와 같은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이 있습니다.

메타퀘스트3, 애플의 비전프로와 함께 VR/XR, 공간컴퓨팅이 메타버스의 메인스트림이 되었습니다.

메타버스와 VR/XR, 거부할 수 없는 흐름
최근 메타버스 시장이 초기의 과도한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핵심 트렌드가 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그 이유는 메타버스가 인플레이션으로 발생한 달러의 유동성을 가상현실로 흡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메타버스는 공급망 쇼크와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빅테크 기업들과 각국 정부가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아직도 VR, AR, MR, XR 헷갈리시나요?

VR, AR, MR, XR 의미와 차이
인공지능 Claude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 VR은 가상현실로, 헤드셋을 통해 완전한 가상 세계에 몰입하는 것을 말함. * AR과 MR은 증강현실과 혼합현실로, 현실에 가상 요소를 더하는 기술. * AR은 주로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되고, MR은 홀로렌즈나 퀘스트 같은 헤드셋으로 구현됨. * XR은 VR, AR, 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을 지칭하는 용어. * 공간 컴퓨터는 물리적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컴퓨터를 뜻하며, 기존

다음은, 공간 컴퓨팅의 정의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공간 컴퓨팅 정의
공간컴퓨팅은 우리 주변 공간을 디지털 경험을 위한 캔버스(Canvas)로 활용하는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 에린 팡길리넌 외.(2020), “증강현실·가상현실과 공간컴퓨팅”, O·REILLY Apple은 자사 “Apple Vision Pro”를 공간 컴퓨터로 소개하면서, 사용자가 현실 세계 및 주변 사람들과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면서 디지털 콘텐츠와 물리적인 세계를 매끄럽게 어우러지게 하는

공간컴퓨팅 혁명의 파급효과와 의미 : NEXT 보고서에서는 공간컴퓨팅을 New(새로운 기술혁명), Explore(탐험적 기술의 발전), eXeperience(새로운 경험의 창출), Transformation(사회전반의 변혁)으로 정의합니다.

공간컴퓨팅 혁명의 파급효과와 의미, N.E.X.T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최근에 읽은 ”공간컴퓨팅 혁명의 파급효과와 의미 : N.E.X.T” 보고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보고서는 공간컴퓨팅 기술의 등장과 그로 인한 변화를 ‘N.E.X.T’라는 키워드로 설명하고 있어요. 1. New (새로운 기술 혁명) 공간컴퓨팅은 새로운 기술 혁명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이는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메타버스가 공간컴퓨팅으로 AI와 융합하게 되면 어떻게 발전하게 되는지 신공간화, 초개인화 관점에서 제시합니다.

공간컴퓨팅과 메타버스
아래 내용은 SPRi 이슈리포트 IS-169, 메타버스의 진화 : 공간컴퓨팅과 AI 융합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실 수 있어요. 메타버스의 진화 : 공간컴퓨팅과 AI융합 - SPRi공간컴퓨팅과 AI의 메타버스 융합은 현재 메타버스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발전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후략)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1.新공간화 □ (新공간화) 공간컴퓨팅과 AI는 현실 세계의 제약을 벗어난

실제 비전프로를 착용하고 생활하는 모습을 간접체험해볼 수 있는 영상입니다.

메타퀘스트2 & 애플 Vision Prio (Spent 24 Hours Wearing | WSJ)
Apple의 Vision Pro 혼합 현실 헤드셋은 현실 세계에 디지털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작업, Apple TV 시청, 요리, 페이스타임과 같은 일상 생활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을까요? WSJ의 조안나 스턴이 스키장을 포함하여 24시간 연속 착용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오늘의 하이라이트입니다. 메타버스와 생성AI가 결합하면 어떤 가상세계가 만들어질까요?

생성AI와 메타버스
오늘은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가 직접 만들 수 있는 메타버스와 그 안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수익 모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최근 AI 기술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AI 기술을 활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자신만의 메타버스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AI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 아바타와

이제 다양한 메타버스 사례들을 살펴볼께요. 시나브로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버스를 많이 준비하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2024 메타버스 엑스포
″코파일럿(Copilot) 최실장”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메타버스, 정보 리터러시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을 다루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최신 트렌드와 활용 사례를 통해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생활과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상주시(경북도) 메타버스
1. 프로젝트 개요: 상주시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메타버스 시청 웹앱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경상북도의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포트’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2. 서비스 내용: 메타버스 상주시청에는 17개의 주요 부서가 배치되어 있으며, 대화 형태로 민원 서비스를 안내합니다. 이는 전국에서 최초로 구현된 메타버스 민원안내 서비스입니다. 3. 특별
울산과학대학교, 메타버스 공유대학 활동으로 탄소 52톤 절감
메타버스를 통한 탄소 절감: 울산과학대학교는 메타버시티 활동을 통해 2023년 7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총 52톤의 탄소를 절감했습니다. 이는 6천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은 효과와 동등합니다. 메타버시티 프로젝트의 구성: 메타버시티는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가 주도하며, 68개 전문대학이 참여하는 국내 최초의 메타버스 연합 교육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비대면 학사 및 행정 활동을 지원합니다. 대학 행사의
메타버스 서울
1. 프로젝트 개요: 서울시는 ‘메타버스 서울’이라는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여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습니다. 2. 투자 및 손실: 총 40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60억 원이 소모되었고, 해당 자금은 회수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프로젝트의 절반 가량이 철회되었습니다. 3. 이용자 수 및 반응: 메타버스 서울의 일일 이용자 수는 수백
경주 황룡사 9층 목탑, 증강현실로 만난다
1. 개발 배경 및 목적: 경주시는 지난 2020년 7월부터 황룡사 9층 목탑의 디지털 복원 작업을 진행해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돕고 폭넓은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2. 프로젝트 진행: 총 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2020년 2월부터 2021년 4월까지 황룡사 9층 목탑의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을 추진하였습니다. 이
경북도 주최 AI·메타버스 영화제
경상북도에서는 ’2024년 경북도 국제 인공지능(AI)·메타버스 영화제(GAMFF)’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다음은 이에 대한 요약입니다: 1. 공모 개요: 경북도에서는 AI 및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거나 그러한 주제를 다룬 영화 및 영상물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공모에는 전 세계 42개국에서 총 527편의 작품이 응모되었습니다. 2. 참가자 구성: 이번 공모에는 영화감독, AI
LG유플러스 키즈 전용 메타버스 전시관 ‘픽키즈’
서비스 개요: 픽키즈는 LG유플러스가 개발한 메타버스 전시관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의 아동 활동과 작품을 가상 공간에서 전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사진과 영상을 업로드하면 10분 이내에 메타버스 전시가 가능합니다. 사용 편의성: 학부모는 추가 비용, 회원가입, 앱 다운로드 없이 아동의 작품과 활동을 볼 수 있으며, 특정 링크를 통해 언제든 접속 가능합니다. 목표 및 기대효과:
버추얼 새만금
미래가 원하는 메타버스의 새로운 모형 ‘버추얼 새만금’ - ‘버추얼 새만금’ 가상공간 산업·교육·관광의 새 장을 열다 - 가상공간을 넘어 새만금 관광과 투자유치의 마중물이 될 것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지난 4월 9일 새만금 메타버스(가상 융합 세계, 이하 메타버스) ‘버추얼 새만금(https://virtualsmg.go.kr)’을 오픈(개장)했다.
서울 서초구, VR 활용한 어린이 재난 대처 능력 강화 프로그램 도입
1. 프로그램 도입 배경: 서울 서초구는 어린이들이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VR) 기술을 통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 교육 내용과 방식: 교육 프로그램은 화재 예방 및 대피, 소화기 사용, 지진 대피 등을 포함하며, 어린이들은 VR 기기를 착용하고 실제와 같은 재난 상황을 체험하면서 대처 방법을 배웁니다. 1.
문화포털 (문화영상)
메타패션으로 휴가룩 코디하고 전주 한옥마을 여행하기 https://www.culture.go.kr/cultureTv/culturePdView.do?idx=8121 아빠랑! 문아랑! XR로 떠나는 백제여행! https://www.culture.go.kr/culturetv/digitalView.do?idx=7943&cPage=1& 메타버스로 떠나는 안동여행 https://www.culture.go.kr/culturetv/digitalView.do?idx=8153&cPage=1&null 관광이

마지막으로 인게이지 플랫폼을 통해서 다함께 메타버스에서 교류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인게이지 실습 (메이커스메타)
Spatial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 - ENGAGEFor enterprise and education professionals seeking Spatial Computing, AI and Metaverse services for use in training, events, development, onboarding and educational use cases.ENGAGE
Meta Quest2 참고 영상
메타퀘스트2 VR 기본적인 가이드 영상과 인게이지 접속 안내 영상 참고해주세요. 아래 영상은 메타 퀘스트2 기기의 사용법을 친절하게 가이드해주는 영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