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AI와 메타버스
오늘은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가 직접 만들 수 있는 메타버스와 그 안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수익 모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최근 AI 기술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AI 기술을 활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자신만의 메타버스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AI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 아바타와 NPC(Non-Player Character)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콘텐츠가 탄생하고,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수익 모델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작년 말 애플에서 공개한 아바타 생성 AI '허그스(HUGS)'를 들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동영상 속 인물을 단 몇 분 만에 디지털 아바타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아바타를 다른 영상이나 가상환경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향후 이 기술을 아이폰, 아이패드, 비전프로 등에 적용하여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구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AI 기술은 메타버스 제작을 보다 쉽고 접근성 높게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개인 크리에이터들은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활동할 수 있게 되었고, 기업들은 브랜드 홍보나 고객 경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AI와 메타버스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대중화된다면, 우리는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던 가상 세계를 현실로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수익 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러분도 AI 기술의 발전 동향에 관심을 가져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애플, 영상으로 3D 애니메이션 아바타 만드는 ‘HUGS‘ 발표

엔비디아, 아바타 클라우드 엔진용 ACE 마이크로서비스 출시
‘HeyGen’ 에 얼굴∙체형∙말투∙목소리 학습 후 제작한 AI 아바타
알리바바 그룹의 ‘EMO’

엔비디아의 3D 객체 생성 AI 모델 ‘GET 3D‘(2022.09)


엔비디아의 text to 3D 모델 ’매직 3D’(2022.11)


오픈AI의 ‘쉐이프-E’, 텍스트로 완전히 연결된 하나의 3D 모델 생성

어도비, 메타버스용 3D 콘텐츠 제작 도구

로블록스, AI 적용 기능
Assistant는 지루한 반복 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을 대폭 삭감해, 모든 기술 수준의 크리에이터가 내러티브, 게임 플레이, 체험 디자인 등 고부가 가치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화형 AI
더 쉬워진 아바타 제작
제페토 생성AI 적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