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시장의 한계와 공급자 중심 구조

메타버스 시장의 한계와 공급자 중심 구조
Photo by julien Tromeur / Unsplash

최근 메타버스 관련 종목들과 시장의 관심을 보여주는 검색량, 투자 지표들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타버스를 차기 성장동력으로 삼던 글로벌 빅테크를 비롯한 국내외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인한 관련 부서 축소와 구조조정메타버스 시장의 성장성에 대한 회의론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3.08 컴투버스 소개 영상

Web3 프로게이머 : 네이버 블로그

컴투버스 관련 잘 정리된 글 (네이버 블로그)

컴투스, 컼투버스 부문 구조조정 진행 (컴투버스 웹사이트 2024)

이러한 시장 관심 하락의 주요 원인은 재미를 갖춘 킬러 콘텐츠 부재와 기술 완성도의 부족, 그리고 유저 친화적이지 않은 서비스 환경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수요가 발생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빅테크와 정부 입장에서는 대화를 비롯한 상호 작용하는 모든 것이 데이터화되는 메타버스에 대한 니즈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역사적으로 데이터 독점은 플랫폼 기업들이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원인이었으며, 최근에는 LLM(Large Language Model) 개발을 위한 학습 데이터 확보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메타버스가 공급자 중심 시장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에 봉착했음을 의미합니다. 사용자의 니즈보다는 데이터 확보를 위한 공급자의 이해관계가 우선시되는 상황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개발과 혁신이 제한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메타버스 시장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입니다.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킬러 콘텐츠 개발과 기술 완성도 향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발과 혁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메타버스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공급자와 사용자 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 같습니다.

  • 메타 : 2023년 직원 22% 감원, 호라이즌 월드 월 이용자수 30만명(24.1월 기준)
  • MS : 2023년 1월 메타버스 부서 직원 1만명 감원, 23년 3월 소셜 가상현실 플랫폼 Altspace VR 종료
  • 넷마블에프앤씨 : 메타버스월드 전직원 대상 구조조정
  • 컴투스 : 컴투버스 구조조정